– 광대역 3D스캐너 × 포토그라메트리 융합을 통한 정교한 조형물 디지털화 사례 –
(주)레플리카는 실존 오브젝트를 디지털로 정밀하게 전환하는 고정밀 3D스캔 기술을 바탕으로, 다양한 산업과 예술 영역에서 디지털 트윈 구현을 선도하고 있습니다. 이번 프로젝트는 종교적 상징성과 예술적 가치가 공존하는 대구의 마리아 조형물을 대상으로, 고정밀 스캔과 실사 컬러 텍스처링을 통해 현실에 가장 가까운 디지털 모델을 제작한 사례입니다.
본 프로젝트는SBS 인기 드라마 ‘열혈사제 시즌2’의 촬영을 위한 세트 구현 및 CG 활용을 목적으로, 대구 지역에 위치한 마리아 조형물에 대한 정밀 3D스캔 프로젝트를 수행하였습니다.
해당 작업은 기존 드라마 세트의 한계를 넘어서기 위한 실사기반 디지털 트윈 기술을 접목한 사례로, 실제 조형물의 디테일을 그대로 담아내고 이를 실시간 렌더링 및 시각효과(VFX)에 적용할 수 있는 수준의 고정밀 데이터로 제작되었습니다.

1. 프로젝트 배경 및 스캔의 필요성
‘열혈사제2’는 기존 시즌보다 더욱 사실적인 미장센과 세트 구성을 강조한 연출을 기획하고 있었으며, 그 중심에는 극 중 상징적으로 등장하는 마리아 석상이 있었습니다. 단순히 세트장에 조형물을 재현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CG·AR·가상세트에서 재활용 가능하고, 카메라 워크와 라이팅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는 디지털 기반 3D자산이 필요하다는 요청이 있었습니다.
이에 따라 (주)레플리카는 실제 조형물의 감도와 질감까지 보존할 수 있는 3D스캔 방식을 적용하여, 현장 재현력과 기술 확장성을 동시에 충족하는 결과물을 제작하게 되었습니다.
2. 촬영 대상지 및 환경 분석
스캔 대상은 대구 지역 천주교 성당의 야외 마리아 동상이었으며, 조형물 자체가 섬세한 조각 표현과 석재 표면질감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형상 정보뿐만 아니라 고해상도의 컬러 텍스처 확보가 매우 중요한 작업 조건이었습니다.
또한 동상은 외부에 위치하고 있어, 광량 변화, 그림자, 조명 반사, 바람 등 외부환경의 영향을 통제하는 것이 필수적이었습니다.
따라서 현장 스캔은 햇빛 반사가 적은 새벽~ 오전 시간대에 맞춰 진행되었고, 주변 요소로 인한 광반사를 줄이기 위해 ND필터를 장착한 카메라와 RAW촬영 방식을 적용하여 데이터 품질을 높였습니다.

3. 사용 장비 및 스캔 방식
이번 스캔에는 고정밀 3D형상 정보를 수집할 수 있는 라이카 광대역 3D스캐너와, 실사 텍스처 수집을 위한 DSLR 카메라 및 드론 항공촬영 장비가 함께 사용되었습니다.
장비 별 역할은 아래와 같습니다.
■ 라이카 광대역 3D스캐너
마리아 동상의 전체 형상과 구조를 수 mm 단위로 측정
정확한 XYZ 좌표 기반 포인트클라우드 확보
조형물의 기단부, 손끝, 접합부 등 미세 형상까지 정밀 스캔
■ DSLR 카메라 (풀프레임)
초고화질(4천만 화소 이상)의 컬러 텍스처 촬영
광량에 따른 노출 변화 없이 HDR 스틸컷 확보
조형물의 앞뒤·측면은 물론, 텍스처 겹침률 60% 이상 촬영
■ 드론 (고성능 짐벌 탑재)
동상의 상부 및 인체로는 접근 어려운 고각도 영역 촬영
지붕, 상단 커버, 머리 부분 등 DSLR로 커버 불가능한 텍스처 수집
360도 고도 조정 촬영으로 포토그라메트리 재구성에 필수 자료 확보

4. 데이터 프로세싱 및 모델링
현장에서 수집된 총 300컷 이상의 고해상도 이미지와 수천만 개의 포인트클라우드 데이터를 바탕으로, 포토그라메트리 기반의 3D처리 작업이 진행되었습니다.
주요 작업 과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포인트클라우드 정렬 및 클린업 작업
3D메시 생성 및 최적화
컬러 텍스처 맵핑
스케일 및 축 정규화
이러한 과정을 통해 생성된 최종 모델은, 실제 동상을 그대로 옮겨놓은 듯한 고정밀 실사 컬러 3D모델로 완성되었습니다.

5. 결과물 및 파일 포맷 제공
최종 산출물은 CG/VFX제작에 최적화된 포맷으로 구성되었으며, 다양한 콘텐츠 환경에서 바로 활용 가능한 구조로 제공합니다.
포맷 종류 :
텍스처 종류 :
활용 예시 :
드라마 CG합성 / 디지털 세트 구성
3D가상공간 배치
가상카메라 워크 시뮬레이션
VFX 트래킹 오브젝트

세트 그 이상을 만든 디지털 기술의 기록
이번 ‘열혈사제2’의 마리아 동상 3D스캔 프로젝트는 단순히 조형물 하나를 복제하는 작업이 아니라, 콘텐츠 미학의 구현과 기술적 기반의 융합을 이룬 사례였습니다.
(주)레플리카는 앞으로도 드라마, 영화, 전시, 게임 등 다양한 영역에서 실사 기반 3D스캔 솔루션을 통해 새로운 디지털 창작 환경을 제공해 나갈 것입니다.
WE "REPLICATE" THINGS THAT MATTER.
REPLICA (레플리카)는 사물, 인체, 공간, 건물 등 세상의 주요한 모든 실물 객체를3D스캐닝하여 Digital화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입니다. 광대역3D스캐너 / 광학식3D스캐너 / 포토그라메트리 를 주 기술로 활용하여VFX분야의 매치무브용 3D스캔 RAW데이터를 납품하고 있습니다. 국내 최고의 공간, 세트장, 소품 및 인체 3D스캔 기술력을 보유하고 15년 이상의 기술진으로 구성되어있습니다.
업계에서 가장 정밀하고 정확한 3D스캔 데이터를 납품하고 있으니 언제든지 3D스캔 작업이 필요하시면 문의 주시기 바랍니다.
궁금하신점이나 문의사항이 있으실경우이메일 문의 : ray@re-plica.com
홈페이지 문의나 카카오톡 상담 또는 02-6952-1613
여기로 편하게 문의주시면 됩니다.
– 광대역 3D스캐너 × 포토그라메트리 융합을 통한 정교한 조형물 디지털화 사례 –
(주)레플리카는 실존 오브젝트를 디지털로 정밀하게 전환하는 고정밀 3D스캔 기술을 바탕으로, 다양한 산업과 예술 영역에서 디지털 트윈 구현을 선도하고 있습니다. 이번 프로젝트는 종교적 상징성과 예술적 가치가 공존하는 대구의 마리아 조형물을 대상으로, 고정밀 스캔과 실사 컬러 텍스처링을 통해 현실에 가장 가까운 디지털 모델을 제작한 사례입니다.
본 프로젝트는SBS 인기 드라마 ‘열혈사제 시즌2’의 촬영을 위한 세트 구현 및 CG 활용을 목적으로, 대구 지역에 위치한 마리아 조형물에 대한 정밀 3D스캔 프로젝트를 수행하였습니다.
해당 작업은 기존 드라마 세트의 한계를 넘어서기 위한 실사기반 디지털 트윈 기술을 접목한 사례로, 실제 조형물의 디테일을 그대로 담아내고 이를 실시간 렌더링 및 시각효과(VFX)에 적용할 수 있는 수준의 고정밀 데이터로 제작되었습니다.
1. 프로젝트 배경 및 스캔의 필요성
‘열혈사제2’는 기존 시즌보다 더욱 사실적인 미장센과 세트 구성을 강조한 연출을 기획하고 있었으며, 그 중심에는 극 중 상징적으로 등장하는 마리아 석상이 있었습니다. 단순히 세트장에 조형물을 재현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CG·AR·가상세트에서 재활용 가능하고, 카메라 워크와 라이팅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는 디지털 기반 3D자산이 필요하다는 요청이 있었습니다.
이에 따라 (주)레플리카는 실제 조형물의 감도와 질감까지 보존할 수 있는 3D스캔 방식을 적용하여, 현장 재현력과 기술 확장성을 동시에 충족하는 결과물을 제작하게 되었습니다.
2. 촬영 대상지 및 환경 분석
스캔 대상은 대구 지역 천주교 성당의 야외 마리아 동상이었으며, 조형물 자체가 섬세한 조각 표현과 석재 표면질감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형상 정보뿐만 아니라 고해상도의 컬러 텍스처 확보가 매우 중요한 작업 조건이었습니다.
또한 동상은 외부에 위치하고 있어, 광량 변화, 그림자, 조명 반사, 바람 등 외부환경의 영향을 통제하는 것이 필수적이었습니다.
따라서 현장 스캔은 햇빛 반사가 적은 새벽~ 오전 시간대에 맞춰 진행되었고, 주변 요소로 인한 광반사를 줄이기 위해 ND필터를 장착한 카메라와 RAW촬영 방식을 적용하여 데이터 품질을 높였습니다.
3. 사용 장비 및 스캔 방식
이번 스캔에는 고정밀 3D형상 정보를 수집할 수 있는 라이카 광대역 3D스캐너와, 실사 텍스처 수집을 위한 DSLR 카메라 및 드론 항공촬영 장비가 함께 사용되었습니다.
장비 별 역할은 아래와 같습니다.
■ 라이카 광대역 3D스캐너
마리아 동상의 전체 형상과 구조를 수 mm 단위로 측정
정확한 XYZ 좌표 기반 포인트클라우드 확보
조형물의 기단부, 손끝, 접합부 등 미세 형상까지 정밀 스캔
■ DSLR 카메라 (풀프레임)
초고화질(4천만 화소 이상)의 컬러 텍스처 촬영
광량에 따른 노출 변화 없이 HDR 스틸컷 확보
조형물의 앞뒤·측면은 물론, 텍스처 겹침률 60% 이상 촬영
■ 드론 (고성능 짐벌 탑재)
동상의 상부 및 인체로는 접근 어려운 고각도 영역 촬영
지붕, 상단 커버, 머리 부분 등 DSLR로 커버 불가능한 텍스처 수집
360도 고도 조정 촬영으로 포토그라메트리 재구성에 필수 자료 확보
4. 데이터 프로세싱 및 모델링
현장에서 수집된 총 300컷 이상의 고해상도 이미지와 수천만 개의 포인트클라우드 데이터를 바탕으로, 포토그라메트리 기반의 3D처리 작업이 진행되었습니다.
주요 작업 과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포인트클라우드 정렬 및 클린업 작업
중복 스캔 지점 제거, 노이즈 필터링, 표면 정리
3D메시 생성 및 최적화
수백만 폴리곤의 하이폴리 메시 생성 → CG활용을 위한 LOD 단계 적용
컬러 텍스처 맵핑
Diffuse맵(실사컬러), Normal 맵(표면질감) , AO 맵(광량그림자) 생성
UV 언랩핑 최적화로 Seam 최소화
스케일 및 축 정규화
실제 조형물과 동일한 스케일로 좌표값 정리 (Unreal / Unity 연동 기준)
이러한 과정을 통해 생성된 최종 모델은, 실제 동상을 그대로 옮겨놓은 듯한 고정밀 실사 컬러 3D모델로 완성되었습니다.
5. 결과물 및 파일 포맷 제공
최종 산출물은 CG/VFX제작에 최적화된 포맷으로 구성되었으며, 다양한 콘텐츠 환경에서 바로 활용 가능한 구조로 제공합니다.
포맷 종류 :
.OBJ (텍스처 포함)
.FBX (애니메이션 연동 가능)
.PLY (포인트컬러 포함)
.GLTF/.USDZ (AR·Web3D 기반 활용)
텍스처 종류 :
Diffuse (기본 제공)
Normal Map , AO Map , Specular / Roughness Map (리토폴로지 작업시 제공)
활용 예시 :
드라마 CG합성 / 디지털 세트 구성
3D가상공간 배치
가상카메라 워크 시뮬레이션
VFX 트래킹 오브젝트
세트 그 이상을 만든 디지털 기술의 기록
이번 ‘열혈사제2’의 마리아 동상 3D스캔 프로젝트는 단순히 조형물 하나를 복제하는 작업이 아니라, 콘텐츠 미학의 구현과 기술적 기반의 융합을 이룬 사례였습니다.
(주)레플리카는 앞으로도 드라마, 영화, 전시, 게임 등 다양한 영역에서 실사 기반 3D스캔 솔루션을 통해 새로운 디지털 창작 환경을 제공해 나갈 것입니다.
WE "REPLICATE" THINGS THAT MATTER.
REPLICA (레플리카)는 사물, 인체, 공간, 건물 등 세상의 주요한 모든 실물 객체를3D스캐닝하여 Digital화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입니다. 광대역3D스캐너 / 광학식3D스캐너 / 포토그라메트리 를 주 기술로 활용하여VFX분야의 매치무브용 3D스캔 RAW데이터를 납품하고 있습니다. 국내 최고의 공간, 세트장, 소품 및 인체 3D스캔 기술력을 보유하고 15년 이상의 기술진으로 구성되어있습니다.
업계에서 가장 정밀하고 정확한 3D스캔 데이터를 납품하고 있으니 언제든지 3D스캔 작업이 필요하시면 문의 주시기 바랍니다.
궁금하신점이나 문의사항이 있으실경우이메일 문의 : ray@re-plica.com
홈페이지 문의나 카카오톡 상담 또는 02-6952-1613
여기로 편하게 문의주시면 됩니다.